
퇴사 시 연차 정산과 퇴직금, 어떻게 챙겨야 할까?
퇴사를 앞두고 있다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돈 문제', 바로 연차수당과 퇴직금 정산입니다. 그동안 근무하면서 쌓아온 권리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과 절차를 명확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퇴사 시 반드시 챙겨야 할 연차수당과 퇴직금 정산 방법, 지급 기준, 계산 방법, 미지급 시 대처법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퇴사 시 정산받아야 할 3가지 항목
퇴사하는 경우, 근로자가 받게 되는 금전적 정산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마지막 월급
- 미사용 연차수당
- 퇴직금
이 세 가지는 각각의 기준과 산정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구분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1. 퇴사 시 연차수당 정산 기준
퇴사하는 날까지 사용하지 않은 연차가 있다면, 이를 현금으로 정산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퇴사 시점 기준으로 남아 있는 연차 일수 × 1일 통상임금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1월 1일 입사자가 2025년 1월 10일 퇴사하면서 연차를 5일 남긴 경우:
- 통상임금 1일 100,000원 × 미사용 연차 5일 = 500,000원 지급
※ 입사 1년 미만자의 경우에는 월 1개씩 발생한 연차도 퇴사 시 정산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2. 퇴직금 지급 요건과 계산법
퇴직금은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한 경우 발생합니다.
- 1년 이상 계속 근무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퇴직금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퇴직금 = [(퇴사 직전 3개월간 평균임금) × 30일] ÷ 365 × 재직일수
여기서 평균임금이란, 퇴직 직전 3개월간 총 임금 ÷ 총 일수로 계산되며, 성과급, 상여금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퇴직금 계산기 활용하기
정확한 퇴직금 예상 금액이 궁금하시다면, 고용노동부 공식 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
https://labor.moel.go.kr/cmmt/calRtrmnt.do
퇴직금 계산 < 고용노동부 노동포털
행추가 행삭제
labor.moel.go.kr
퇴사일과 연차 발생일, 어떤 관계가 있나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입니다. 퇴사 직전에 연차가 새로 발생했는지 여부에 따라 연차수당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입사일 기준으로 1년이 되는 날 발생하는 15일 연차
- 이 시점을 넘기지 못하고 퇴사할 경우,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정산 대상 아님
단, 입사 후 1년 미만 근무자의 월 단위 연차는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일부 정산 가능하므로, 회사의 연차 관리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5.03.26 - [생활정보] - 연차수당 총정리 – 법적 기준, 계산법, 지급 시기까지 정확하게 알아보기
연차수당 총정리 – 법적 기준, 계산법, 지급 시기까지 정확하게 알아보기
연차수당 총정리 – 법적 기준, 계산법, 지급 시기까지 정확하게 알아보기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관심 갖게 되는 연차수당. 하지만 정작 연차수당의 기준과 지급 조건, 계산법, 미지급 시 대처 방
mydayon.tistory.com
퇴사 정산금은 언제 지급되나요?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퇴사 후 14일 이내에 모든 금전적 정산이 이뤄져야 합니다.
- 연차수당
- 퇴직금
- 미지급된 급여
모두 포함하여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되어야 하며, 사정이 있을 경우 당사자 간 합의 하에 지급 시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https://www.law.go.kr/법령/근로기준법/(20250223,20520,20241022)/제36조
근로기준법
www.law.go.kr
연차수당 또는 퇴직금을 못 받았을 때 대처 방법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대응하실 수 있습니다.
- 회사에 공식적으로 요청 (이메일, 문서 등 증거 확보)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문의
- 관할 고용노동청에 진정 접수
- 필요시 노무사 또는 노동전문 변호사 자문
회사가 고의적으로 지급하지 않거나, 법적 시한을 넘겨 미지급할 경우 과태료 및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메인페이지
1350.moel.go.kr
퇴사 전 확인해야 할 서류
퇴사 전 아래 항목들을 반드시 점검해보세요.
- 근로계약서 (연차 및 퇴직금 관련 조항 확인)
- 급여명세서 (통상임금 계산 기준)
- 연차사용현황 (미사용 연차 수 확인)
- 퇴직금 계산 내역서 (회사 제공 자료)

마무리하며
퇴사한다고 해서 끝이 아닙니다. 퇴사 직전까지 쌓아온 권리와 금전은 반드시 정당하게 받아야 할 보상입니다. 연차수당, 퇴직금은 근로자의 권리이며, 이를 꼼꼼히 챙기는 것이 곧 나를 지키는 일입니다. 지금 퇴사를 앞두고 계시다면, 위 내용을 바탕으로 미리 점검하고 준비해보시기 바랍니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국민지원금 신청 방법 및 사용처 정리|누구에게, 어디서, 어떻게? (0) | 2025.04.11 |
---|---|
연차촉진제도란? 연차수당 못 받는 이유, 제대로 알고 대비하기 (0) | 2025.04.07 |
장년층 일자리! 이제 숲에서 일합니다 – 산림·식물 자격증으로 여는 제2의 인생 (1) | 2025.04.05 |
주휴수당이란? 아르바이트도 꼭 알아야 할 필수 개념 (0) | 2025.04.04 |
몰라서 손해보지 마세요! 국민연금 추납제도 실직·경력단절도 연금으로 바꾸는 법 (0) | 2025.03.29 |